안녕하세요! 오늘은 기업의 재무 안정성을 판단하는 추가적인 지표를 알아볼 거예요. 📊
지난 시간에는 부채비율과 유동비율을 통해 기업이 단기적으로 얼마나 안정적인지를 봤다면, 이번에는 장기적으로 기업이 부채를 감당할 능력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지표들을 배워볼게요.
✅ 1. 이자보상배율 (Interest Coverage Ratio)란?
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이 이자 비용을 감당할 수 있는 능력을 나타내는 지표예요.
즉, 기업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를 몇 배나 낼 수 있는지를 보여줍니다.
📌 이자보상배율 공식
이자보상배율 = 영업이익 ÷ 이자비용
💡 예제:
구글의 2023년 4분기 실적을 보죠!
- 영업이익: 250억 달러
- 이자비용: 5억 달러
- 이자보상배율 = 250억 ÷ 5억 = 50배
즉, 구글은 이자비용의 50배에 해당하는 영업이익을 창출하고 있어요. 이는 기업이 부채 부담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해요. 💪
💡 이자보상배율 해석법
✔ 3 미만: 부채 부담이 크고, 재무적으로 불안정 🚨
✔ 3~10: 안정적인 수준 😊
✔ 10 이상: 매우 건강한 재무 상태 💎
구글처럼 10 이상이면 매우 안정적인 기업이라고 볼 수 있어요.
✅ 2.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 (Debt to Cash Flow Ratio)란?
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은 기업이 벌어들이는 현금 흐름(영업활동현금흐름)으로 부채를 얼마나 감당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예요.
📌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 공식
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 = 총 부채 ÷ 영업활동현금흐름
💡 예제:
- 구글의 총 부채: 1,000억 달러
- 영업활동현금흐름: 800억 달러
-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 = 1,000억 ÷ 800억 = 1.25배
✔ 1 이하: 기업이 1년 내에 부채를 모두 갚을 수 있음 (안전) 🔥
✔ 1~3: 적정 수준, 기업이 부채를 감당할 수 있음 ✅
✔ 3 이상: 부채 부담이 크고, 장기적으로 위험 🚨
구글은 1.25배로 안전한 수준이에요! 😃
📌 정리: 기업의 부채를 분석할 때 무엇을 봐야 할까?
📍 이자보상배율: 기업이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능력이 있는지 확인
📍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: 기업이 벌어들이는 현금으로 부채를 감당할 수 있는지 확인
✔ 이자보상배율이 높고,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이 낮다면? → 재무적으로 안정적인 기업! 🏆
✔ 이자보상배율이 낮고,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이 높다면? → 재무적으로 불안한 기업! 🚨
이 두 가지 지표를 활용하면, 단순히 **부채비율(총부채/자본)**만 보는 것보다 더 깊이 있게 기업의 재무 안전성을 분석할 수 있어요.
🔥 마무리: 이제 여러분도 기업의 재무 건전성을 분석할 수 있어요!
이제 이자보상배율과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을 활용해 내가 투자할 기업이 안정적인지 직접 확인해보세요! 💡
다음 글에서는 기업의 수익성(ROE, ROA) 분석법을 다룰 예정이니 기대해주세요! 🚀
📌 오늘 배운 핵심 내용 정리
✔ 이자보상배율 = 영업이익 ÷ 이자비용 (3 미만이면 위험)
✔ 현금흐름 대비 부채비율 = 총 부채 ÷ 영업활동현금흐름 (1 이하가 이상적)
💬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남겨주세요! 😉
'경제적 자유로 가는 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재무제표 기초] 9. 기업의 성장 가능성은? 매출 성장률과 이익 성장률 분석하기 📈 (0) | 2025.02.26 |
---|---|
[재무제표 기초] 8. 기업의 수익성은 얼마나 좋을까? ROE와 ROA 분석하기! 📊💰 (0) | 2025.02.26 |
[재무제표 기초] 6. 기업의 이익은 얼마나 남을까? 순이익과 영업이익 분석! 💰📊 (0) | 2025.02.25 |
[재무제표 기초] 5. 재무 건전성을 확인하는 핵심 지표, 부채비율과 유동비율 분석! 📊💰 (0) | 2025.02.25 |
[재무제표 기초] 4. 현금 흐름표란? 구글의 현금 흐름을 통해 어떻게 기업을 분석할 수 있을까? 💰 (1) | 2025.02.25 |